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동발달 신생아시기 개념과 의의

육아

by 살찐엄마 2022. 3. 15. 21:26

본문

아동발달은 발달심리학의 한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발달심리학은 인간의 발달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수정이 되어 인간의 생명이 시작하는 순간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전 생애 동안 연령의 증가와 함께 나타나는 모든 변화이다. 그 중에서도 아동발달은 전 생애 동안의 발달변화 중에서 아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수정에서부터 18세까지의 발달과정을 탐구하는 분야이다. 

태내기: 수정에서 출생까지(약 9개월)

신생아기: 출생에서부터 약 2주~4주(모자보건법에 따르면 신생아 시기를 출생 후 28일 미만으로 보고 있다 「모자보건법」 제2조제4호)

영아기: 신생아기가 끝나는 시기부터 약 2세까지

유아기: 영아기가 끝나는 시기부터 약 6세까지(초등학교 입학 전)

아동기: 유아기가 끝나는 시기부터 약 12세까지(초등학교 시기)

청소년기: 아동기가 끝나는 시기부터 약 18세까지(중고등학교 시기)

아동발달은 어떤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할까?

발달주제별로 생각해보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신체발달: 신체의 크기 및 기능의 발달변화, 운동기능, 두뇌와 신경계의 발달

2. 인지발달: 아동의 주의와 지각, 학습과 기억, 사고, 지능, 창의성, 그리고 언어의 발달과정

3. 사회·정서발달: 아동의 부모, 형제, 또래 및 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감정과 정서발달, 자아개념, 공격성, 도덕성 등의 발달과정을 다룬다. 

 

아동발달은 어떤 의의를 가질까?

아동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평균적인 발달의 변화를 정확히 기술한 것이다. 그리고 왜 그런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설명해주며 이를 토대로 개인차를 설명한다. 부모나 교사들은 아동발달지식을 기초로 아동들에게 바람직한 발달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정상적인 발달과정을 벗어났을 경우, 그 원인을 이해하여 적절한 교육이나 대처방법을 마련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을 이해하는 첫걸음이 된다. 

아동발달은 능동적? 수동적?
현대의 아동발달에서는 아동이 스스로 주위 세계를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능동적인 존재라고 생각한다. 아동은 주위의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형성케 하는 적극적, 능동적인 존재로 받아들여진다. 

아동은 성숙하는가? 학습하는가?

성숙이란, 유전적으로 결정된 방향으로 발달해 가는 것이다. 학습이란, 환경에서의 경험을 통해 일어나는 과정이다. 성숙과 학습은 거의 모든 상황에서 상호작용 하기 때문에 아동의 발달과정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거나 상대적인 영향을 평가해 내기는 어렵다. 태내발달이나 신경계의 발달은 성숙과정에 의존한다. 운동능력이나 인지능력의 발달은 성숙과 학습 두 가지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획득과 인지능력의 발달도 경험과 성숙의 상호작용 결과이다. 아동발달에서 성숙은 경험과 상호작용 또는 상호 보완작용을 하게 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